티스토리 뷰

반응형

2016/11/14 증시 특징뉴스





한국은행 5개월 연속 기준금리 동결 



한국은행, 11 기준금리 1.25%로 동결. 6월 금리 인하 이후 현 수준 유지


  - ­ 금융통화위원 전원 만장 일치 결론


  ◇ 가계부채 증가세 우려 지속. 은행 가계대출 695.7조원. 전월 대비 +7.5조원 증가


트럼프 당선인에 따른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증가도 요인으로 작용



 ◇ 트럼프의 기존 옐런 의장에 대한 비판적 발언에 따른 연내 기준금리 인상 불확실성 증가


  ◇ 한국은행, 대미 무역정책의 변화 가능성도 고려. 트럼프의 한미FTA 재협상 발언도 변수



일본 공작기계수주, PPI 하락세 지속 

◇ 일본 10월 공작기계수주 전년 대비 -8.9% 감소

◇ 15개월 연속 감소세 지속. 감소폭 9월(YoY -6.3%) 대비 확대

◇ 공작기계수주, 향후 기업의 설비투자 전망치로 대표적인 경기 선행지수

◇ 일본 10월 생산자물가지수(PPI) 98.7pt 기록

  - ­ 전년 대비 -2.7% 하락. 19개월 연속 하락세 지속

◇ 공작기계수주, 생산자물가지수의 하락세 장기 지속은 향후 부정적 전망을 의미



한국 수출 전년 대비 증가 


◇ 한국 11월 수출(1~10일) 139.15억달러. 전년 동기간 대비 +19.7%

  - ­ 조업일 수 증가(+1일) 감안 시 전년 대비 +5.6%

 ◇ 주요 품목으로는 자동차부품(+39.0%), 반도체(+25.9%), 석유제품(+11.8%) 등이 크게 증가

  ◇ 국가별로는 대 베트남(+51.6%), 유럽(+40.7%), 미국(+26.3%) 수출이 확대

? 동기간 수입은 131.54억달러 기록. 전년 동기간 대비 +7.9%

◇ 수입 증가폭 대비 수출 증가폭 확대로 무역수지는 -5.7억달러 → +7.6억달러 흑자 전환




전기전자 업종 약세. 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 우려 


◇ KOSPI 1,984.43pt(-0.91%), KOSDAQ 621.89pt(-0.22%) 마감

  - ­ 외국인, KOSPI -4,497억원 순매도. 11월 들어 총 -1.3조원 순매도


전기전자 업종(-2.74%) 하락폭 최대


  - ­ 삼성전자 -3.09% 급락. 트럼프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실적 악화 우려 반영


의약품 업종 +3.34% 상승


  - ­ 삼성바이오로직스 +12.15% 급등. MSCI 및 FTSE 지수 편입 확정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

  - ­ 한독 +11.97%, 종근당바이오 +4.74%, JW중외제약 +4.21% 등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Weekly 글로벌 시장 리뷰





트럼프의 인프라 투자 기대감에 산업금속 상승 

◇ LMEX(런던금속거래소 산업금속 지수) 주간 +7.8% 상승

  - ­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기존 인프라 투자 확대 발언에 산업용 광물 가격 급등

  - ­ 국제 은(주간 +2.0%), 구리(+13.7%) 상승. 특히 구리가격은 16개월만에 최고 수준

◇ 반면 국제 금 주간 -3.4% 하락. 대선 결과 이후 위험자산 선호 현상에 약세





G2 인프라 관련주 급등 


◇ MSCI 전세계 지수 산업재 섹터 주간 +3.8% 상승

◇  MSCI 미국 산업재 섹터 +7.6%. 대선 이후 인프라 투자 확대에 대한 기대감 반영

  - ­ 미국 유나이티드 렌탈스 +23.8%, 캐터필러 +15.0% 급등

◇ 상해종합지수 산업재 섹터 +3.0%. 인프라 관련주 강세 지속

  - ­ 중국통신건설 +10.2%, 중국철도건설 +9.5%, 중국전력건설 +3.6% 등





트럼프 당선에 멕시코 페소화 급락 


? 멕시코 BOLSA 지수 주간 -3.1% 하락

  - ­ 페소화 가치 주간 -8.2% 절하. 트럼프의 이민자 강경, 멕시코 장벽 건축 발언에 기인

  - ­ MSCI 멕시코 지수 주간 -9.6% 하락. 금융(-15.7%), 산업재(-12.7%), 통신(-10.1%) 등 대형 섹터 중심의 하락

  - ­ 아메리카모빌 -3.5% 하락. 시가총액 기준 멕시코 증시 1위(약 44조원) 기업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
기준금리는 동결 되었으나, 트럼프 美 대선 당선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영향이 증시에 나타나고 있습니다.


한미FTA 재협상 우려와 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.......


그래도 수출은 작년대비 늘어났다네요 ^^; 


장기투자보다는 단,중기 위주의 매매를 하는 한주되셨으면 합니다.




ps.



이견을 가지고 계시거나 질문이 있으신분들은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. 정성껏 답변해드리겠습니다.

반응형
댓글